728x90

 

왕따 진영은 옥상에서 친구들에게 유치한 장난을 당하고 있었다.

그 장난은 낭떠러지 끝에 신발을 걸어놓었다.

그것을 팔을 뻗어 갖는 것이다.

 

그 위험한 장난을 펼치고 있을때 박성웅 건달 두목은

건물 바로 밑을 천천히 걷고 있다.

진영은 옥상에서 떨어지면서 건물 밑에 있던 박성웅과 부딪치게 된다.

 

 

진영과 박성웅 몸은 바뀌게 된다.

먼저 깨어난 사람은 바로 박성웅이다.

자신의 육체는 침대에 누워 있는데,

그럼 난 뭐지, 거울을 보게 된다.

 

 

이게 뭐야,

내 얼굴이 뚱뚱한 학생이 되어 있네

 

 

당신 아들이 아니라고 몇 번을 말해!

 

 

몸이 바꿨으니, 어쩔 수 없이 진영이의 학교로 박성웅은 나가게 된다.

괴롭힌 무리 친구들은 죽지 않고 온 '진영'이를 환영한다.

그 환영이란 또 다시 괴롭힘으로

 

근데 이젠 진영 몸에 있는 사람은 박성웅이다.

건달의 싸움의 기술은 뚱뚱한 몸이지만,

유감없이 발휘된다.

 

내가 맞는 걸 싫어해서

 

 

진영이는 방학을 이용해서 근육이 단련하고,

지방을 빼는데 성공한다.

건달의 운동 신경쯤이야.

 

 

진영과 친구 여학생 엄마는

바로 자신이 예전 사귀었던 장미란이었다.

 

인연이란 무서운 법이다.

언제가는 다시 만나게 되는 법이다.

그래서 매일의 만남에서 최선을 다한 예의와 배려가 필요한 가보다.

 

 

진영이도 병원에서 깨어나게 된다.

건달 두목의 깨어남은 다른 조폭들에게 비극의 소식이다.

 

 

싸움을 끝장내지 못한 조폭들은 다시 박성웅을 찾아온다.

조폭을 본 박성웅은 말한다.

아저씨는 누구세요?

 

싸움의 경험과 기술이 없는 박성웅은 그냥 왕따를 당하던 평범한 착한 아이다.

왕따, 약한 친구를 자기 마음대로 이용할수 있는 권리는 누가 주는 건가?

단호히 학교 범윤리적으로 괴롭히는 아이들을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

 

                                                           누구에게나 가끔 몸이 바뀌는 상상을 하곤 한다.

그리고 몸이 바뀌지 않아도

내 안에 다른 누군가가 존재하고 있지는 않을까?

 

내 안에 있는 그놈이

대체 몇 명인지

 

나는 가끔 헷갈린다

728x90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드라마) 소년시대  (2) 2024.04.28
(미국영화) 파이브 피트  (2) 2024.04.26
(한국영화) 독전  (0) 2024.04.24
(한국영화) 롱 리브 더 킹 : 목포 영웅  (2) 2024.04.23
(한국영화) 싱글 인 서울  (2) 2024.04.22
728x90

 

 

복잡한 표정을 한 남자가 조폭으로 보이는

남자에게 금괴를 건네고 있다

 

 

금괴를 건넨 남자와 설경구는 사투를 벌이고 있다.

결국 첩자였던 남자는 설경구에 의해 총살 당하게 된다.

 

 

오징어게임으로 일약 스타가 된 '박해수'

이번에는 정의로운 검사로 등장한다.

하지만 대기업과 맞짱 뜨면서 좌천되게 되는데

 

 

좌천된 곳은 '국정원'

국정원에서 자신의 옛 자리로 돌아가기 위해

위험천만한 중국 특파원으로 가게 되는데

 

 

어느 조직이든지,

그 곳에 사람이 있다.

사람은 끝내 자신과 맞는 선후배와 또다른 조직속에 조직을 형성하게 된다.

 

 

북한 공작원을 추적하고 있는 일본, 대한민국, 중국 세 나라...

북한 공작원은 일본 조직이 이끄는 비밀 정보 (이단자)

즉 전 세계 일본 스파이 정보가 숨겨져 있다.

 

 

영화는 잔인한 현실을 모방하기 힘들다.

그대로 모방하게 되면 그 진실을 마주하게 되는게

상당한 심적 폭력으로 관객에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은밀한 정보에 접근하게 되면

'다치게 된다는 사실은 우리는 알고 있다'

 

 

결국 끝내 내 편이라고 생각했던 후배가 그 중 한 명 '스파이'였다는 게

마음에 상처로 다가오지 않을까 싶다.

 

 

진실은 승리해야 한다.

후세를 살아가는 자식들에게 이런 교육은 중요하다.

하지만 안타깝게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는 알고 있다.

진실된 자와 개혁을 바라는 자는 고통을 끝끝내 이겨내다 보기 한다는 사실을.

 

 

화면 속에 나오는 스파이를 누가 원망할수 있겠는가?

어느 누가 공격할 수 있겠는가?

 

 

영화의 결말은 끝내 진실이 이기는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어쩌면 영화와 소설은 비극적인 현실을

잠시 떠나 희망을 찾는 컨텐츠 뿐일지 모른다

 

 

너무나 뻔하지만 조직에서 나름 희망 회로를 돌리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 안심이 된다

728x90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적 (한국영화)  (0) 2024.02.14
박열 (한국영화)  (0) 2024.02.14
(한국영화) 극비수사  (0) 2024.02.14
(한국영화) 뜨거운 피  (2) 2024.02.14
(한국영화) 검객  (2) 2024.02.14

+ Recent posts